#테라젠이텍스
유전자 기반 맞춤형 신약 연구 개발 중심의 제약바이오 기업, 테라젠이텍스(대표 류병환)는 식약처 인정 받은 19종 유산균과 세계적인 특허 균주, 정상적인 면역기능에 필요한 아연을 배합한 ‘테라프로바 패밀리’ 2종을 출시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테라젠이텍스 테라젠이텍스가 약보합 마감했습니다.
테라젠이텍스 테라프로바 패밀리 마케팅 브랜드 담당자는 “이번에 출시된 테라프로바 패밀리는 테라젠이텍스만의 노하우를 담아 대장과 소장에서 다양한 균종과 균수가 보장되고, 장에서 오랫동안 생착될 수 있도록 설계한 온 가족 장 건강을 위한 프로바이오틱스 신제품”이라며, “테라젠이텍스는 향후 성별 연령에 따라 필요한 개별 인정형 기능성 원료를 추가한 개인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출시를 통해 점차적으로 제품 라인업을 보강할 계획이다”라고 밝혔습니다. lactis BL-04)’ ▲프랑스 르사프(LeSaffre)사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LGG)’ 균주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테라젠이텍스
이 밖에도 이산화규소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향료, 감미료 등 화학첨가물을 첨가하지 않아 온 가족이 더욱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습니다. 94%(100원) 하락한 1만550원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이 2007년 바이로메드(현 )에 99억원을 투자해 12배 정도 차익을 낸 것도 제약사 투자 성공 사례로 꼽힌다.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바이오 벤처 지분투자나 자회사 설립으로 큰 시세 차익을 얻고 있습니다.
지난해 말 상장 당시 3600억원에 불과했던 시총은 10일 기준 2조391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테라젠이텍스는 AI 신약개발 플랫폼기술과 유전체 분석기술을 활용해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을 발굴한 바 있습니다.
이 회사는 나스닥 상장과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등 호재가 겹치면서 최근 지분가치가 급등했습니다. 테라젠이텍스의 우수한 기술력과 노하우를 담은 ‘테라프로바 패밀리’ 2종은 균종에 따라 대장과 소장 서식 위치가 다르다는 유산균의 특성을 고려해 식약처 인정 19종 유산균은 물론 세계적인 특허 균주 등 다양한 균종을 배합한 것이 특징입니다.
9%) 등 2년 내 코스닥시장 상장을 앞둔 기업 지분을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74%(600원) 상승한 1만325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장정착율이 뛰어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LGG)’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균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는 항암제 개발 기업인 를 자회사로 두고 있습니다.
지분가치가 의 시가총액(3921억원)에 육박합니다. 바이오업계 ‘맏형’ 역할을 하는 이 대표적입니다.
테라젠이텍스는 의약품 제조, 판매와 유전체 서열 분석사업을 주로 하고 있습니다. 18%(1950원) 상승한 1만3300원에 마감하면서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는 올해에만 주가가 5배 이상 상승했습니다. 유전체 분석 사업은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기술을 활용한 연구 영역과 임상 및 개인 유전체 분석 분야로 나뉘며 계열사인 이텍스제약을 2010년 합병해 제약사업도 영위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바이오 벤처의 자금줄은 국내 대형 제약사였다. 10일 테라젠이텍스에 따르면 이날 주가 상승 이유에 대해 인공지능(AI) 관련주 영향과 메드팩토 지분 가치 부각, 오버행 이슈 해소 등으로 주가가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지분투자를 넘어 자회사 설립 후 상장을 통해 대박을 터뜨린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업계에선 지분가치 시가평가액이 5000억원을 넘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9배와 동일한 수준으로 업종 내에서 하위 1%에 위치합니다. 테라젠이텍스 관계자는 4월에 89만3517주 전환사채(CB)가 전환되면서 5월에 신규상장을 했는데 그 물량이 해소된 것 아니냐는 내부 의견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면역기능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정상적인 면역기능에 도움을 주는 아연을 더했으며, 건강에 도움을 주는 장내 유익균인 ‘프로바이오틱스’에 이들 유익균의 생장을 돕고 먹이가 되어 주는 ‘프리바이오틱스’를 부원료로 추가한 ‘신바이오틱스 포뮬러(SYN biotics formula)’를 적용, 장내에서 유산균이 더욱 잘 생장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벤처기업에 지분을 투자해 함께 연구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은 그동안 국내 대형 제약사의 전유물이었다.
순수 지분투자로 대박을 친 사례도 있습니다. 8년이 지난 이달 8일 기준 종가는 14만8200원입니다.
테라젠이텍스에 따르면 10일 주가 상승 이유에 대해 인공지능(AI) 관련주 영향과 메드팩토 지분 가치 부각, 오버행 이슈 해소 등으로 주가가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에 메드팩토는 최근 주가 급등에 힘입어 코스닥 시가총액 14위로 뛰어올랐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쌍용양회우 주가전망 나홀로 상승 하는 이유 (0) | 2020.10.13 |
---|---|
호텔신라 주가전망 상승에 기대하는 이유 (0) | 2020.10.13 |
케티씨티 주가 전망 기대해볼수 있는 이유 (0) | 2020.10.12 |
깨끗한나라 주가 전망 기대하는 이유 (0) | 2020.10.12 |
레이븐코인 전망 알아보세요 (0) | 2020.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