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평균선 매매기법이란 차트의 이동평균선을 이용하여 주식의 차트 흐름을 분석하는 보조도구 지표 이며 매매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지표 중의 하나입니다. 영어로는 Moving Average 불리며 주식뿐만 아니라 파생시장의 상품이나 금, 거래액, 매매대금, 주가 등에 대해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목차
이동평균선이란
이동평균선은 차트에서 일정기간의 주가를 평균한 값으로 이어서 만든 선을 의미합니다. 줄여서 이평선이라고도 많이 부르기도 하며 기본 이동평균선은 종가를 평균 내어 만든 값이며 사용자가 설정값에 따라 시가, 저가, 고가 등으로 기준을 바꿀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확인해보겠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동평균선은 5일, 10일, 20일, 60일, 120일입니다. 단기 이동평균선은 5일, 10일, 20일 정도가 되면 60일 이동평균선은 중기 이동평균선입니다. 120일은 장기 이동평균선이라고 불립니다.
이동평균선 계산하는 방법
하나의 예를 들어 설명드리자면 5일의 이동평균선을 구한다고 가정하였다면 금일의 캔들을 포함하여 최근 5개의 종가를 모두 더하여 5로 나눈 값을 의미합니다.
5일 이동평균선 = (당일 종가 + 1일전 종가 + 2일전 종가 + 3일전 종가 + 4일전 종가) / 5 |
20일 이동평균선 = (당일 종가 + 1일전 종가 + ... + 19일전 종가 + 20일전 종가) / 20 |
위와 같은 수식으로 계산이 됩니다. 60일선, 120일 선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이동평균선 매매기법
주식을 하다 보면 다양한 매매기법이 존재하는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매매기법은 가장 오래되었으며 사람들의 신뢰를 많이 가지고 있는 기법입니다. 급등을 하였던 종목이라면 고가에서 가격조정이 오기 마련입니다. 이때 이동평균선에 닿을 때쯤 매수를 하고 반등을 하면 매도하는 방법입니다.
단기적이나 중기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10일, 20일, 60일, 120일 이동평균선을 보조지표에 자주 표시하고 오래된 주식에 따라 480일 1000 일 등도 사용하기도 합니다. 가장 많이 알려진 기법으로는 주가가 이동평균선 근처에 왔을 때에 1차 매수를 하게 됩니다.
그리고 해당 근접 부분에서 반등이 오면 팔거나 다시 하락(7% ~ 10%)을 하면 2차 매수하고 또다시 하락을 하면 3차 분할매수를 하게 됩니다. 분할매수를 하여 리스크를 줄이고 이익을 낼 수 있는 기법입니다.
10일, 20일 이동평균선
가장 정석적이며 반등한 종목만 보자면 실제로 반등이 나오는 경우가 많지만 항상 100%는 아닙니다. 20일 이동 평균선은 약 한 달의 평균 가격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며 보통 세력선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60일 이동평균선
60일 이동평균선은 보통 100% 이상 급등을 하거나 상승한 종목을 대상으로 공략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60일 이동평균선은 약 3개월의 평균 가격을 나타내는 지표를 의미하며 수급선이라고 부릅니다. 중기적으로 접근할 때 새로운 시세가 시작되는 선입니다.
120일 이동평균선
장기투자의 관점으로 접근할 때 사용되는 매매기법으로 90% 이상의 확률로 반등을 하며 수익을 내기 가장 좋은 구간입니다. 매수방법으로는 120일 이동평균선에 근접하였을 때 1차 매수를 진행합니다. 그리고 반등이 오면 수익을 내시면 되고 하락(-10%~-15%)이 나오면 2차 매수를 하고 마지막으로 더 떨어지면 3차 매수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이동평균선 분할매수 비율
분할매수의 비율은 보통 1:3:6 혹은 3:3:4 등으로 많이 매매를 진행합니다. 현재는 3:3:4 비율로 매수를 가장 많이 합니다. 120일의 이동평균선은 6개월가량의 평균 가격을 나타내는 지표로 가격방어선 혹은 경기 방어선이라고 불립니다.
약 1천만 원의 금액이 있으면 아래와 같이 3:3:4 비율로 매수를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 1차 매수 금액 - 3백만 원
- 2차 매수 금액 - 3백만 원
- 3차 매수 금액 - 4백만 원
코인차트에서 적용이 될까?
이동평균선은 주식뿐만 아니라 코인 거래에도 차트가 정확하게 적용이 됩니다. 다만 코인의 경우에는 24시간 365일 거래를 하게 되므로 이동평균선을 계산할 때 일자를 약간 다르게 설정하기도 합니다. 20일선 = 30일선(한 달), 120일선 = 180일선(6개월) 등으로 사용이 됩니다.
이상으로 이동평균성과 이를 이용한 매매기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리스크를 줄이고 이익을 극대화하는 매매기법으로 느긋하게 투자를 하시길 바랍니다. 유용하시다면 다른 글들도 확인해보세요.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동매매란? 왜 우리는 매번 손해인가 (0) | 2020.10.02 |
---|---|
주식매매체결의 3원칙 (0) | 2020.10.02 |
셧다운 뜻에 대해서 주식용어 (0) | 2020.10.02 |
골든크로스 뜻, 차트 적용 기법 (0) | 2020.10.02 |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서킷브레이크) 용어 정리 (0) | 2020.10.02 |